공사비 분류체계 (Cost Breakdown Structure; 이하 CBS)는 프로젝트 전체를 보다 정확하게 매니지먼트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한 세부 원가 요소입니다. Work Breakown Structure를 Cost Management 관점에서 쓰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내용입니다. 즉, 공사비의 각 구성 내용을 표현하는 내역서 (Cost Estimate)에 포함된 각 작업항목들의 체계를 의미합니다.
많은 Cost Management 관련 내용 중에서 CBS에 대해 가장 먼저 설명하는 이유는 QS의 국내 정착을 위해 기본적으로 그리고 반드시 활용해야 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국내의 Cost Management는 시공회사를 중심으로 하여 시공단계의 원가절감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1990년대 초반 Construction Management의 개념이 처음으로 국내에 소개되면서 프로젝트 초기의 Cost Management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지만, 현업에서는 아직도 시공 단계의 원가절감 방법만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러한 현상은 시공사에서뿐만 아니라 많은 Project Manage나 Construction Manager 회사들에서도 보여지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오랜 기간 동안 시공회사의 현장에 소속되어 직접 시공 관련 업무를 수행하셨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CBS는 공종별 분류이며, 같은 종류의 현장 작업 또는 각 협력업체의 업무 범위에 따라 분류한 것입니다. 이 공종별 분류는 시공사의 입장에서 시공 단계의 공사비를 관리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설계단계에서 발주자의 입장에서 공사비를 관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에는 그 성격이 맞지 않습니다. 즉 같은 Cost Management라고 해도 시기에 따라, 주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설계단계의 Cost Management를 위해서는 Elemental CBS (부위별 또는 요소별)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이 분류체계는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단계에서 엔지니어 또는 설계자들의 설계 진행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여 여러 설계대안이 변화함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공사비를 쉽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위별 분류체계는 영국 BCIS의 Standard Form of Cost Analysis, 역시 영국 RICS의 New Rules of Measurement, 미국의 Uniformat 등이며 불행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표준화된 분류체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BCIS의 Standard Form of Cost Analysis입니다.
1 Substructure (지하구조물공사)
1A Substructure (지하구조물공사)
2 Superstructure (지상구조물공사)
2A Frame (기둥 및 보 등의 구조 프레임공사)
2B Upper Floors (슬래브공사)
2C Roof (지붕공사)
2D Stairs (계단공사)
2E External Walls (외벽마감공사)
2F External Windows and Doors (외부창호공사)
2G Internal Walls and Partitions (내벽 및 파티션공사)
2H Internal Doors (내부 문공사)
3 Finishes (건축마감공사)
3A Wall Finishes (벽체마감공사)
3B Floor Finishes (바닥마감공사)
3C Ceiling Finishes (천정마감공사)
4 Fittings and Furnishings (가구류, 가전기구, Signage 등)
5 Services (기계설비 및 전기설비 공사)
5A Sanitary Appliances (화장실 위생기구)
5B Services Equipment (주방기구)
5C Disposal Installations (건물 내 배수 및 쓰레기 처리 시설)
5D Water Installations (급수설비)
5E Heat Source (보일러)
5F Space Heating and Air Treatment (난방설비)
5G Ventilating Systems (환기설비)
5H Electrical Installations (전기설비)
5I Fuel Installations (연료공급설비)
5J Lift and Conveyor Installations (엘리베이터 및 컨베이어설비)
5K Fire and Lighting Protection (소방 및 소방조명설비)
5L Communications and Security Installations (통신 및 보안설비)
5M Speciall Installations (특수시설의 설치)
5N Builder's Work in Connection (설비공사에 부수되는 건축공사)
5O Management of the Commissioning of Services (시운전 관리)
6 External Works (조경 및 부대토목 공사)
6A Site Works (부지조성공사 및 조경공사)
6B Drainage (배수공사)
6C External Services (외부 전기 및 기계설비)
6D Minor Building Works (기타 건축물 외부 부위들)
6E Demolitions and work outside the Site (해체 및 단지 외부 공사)
7 Preliminaries (공통가설 및 현장관리비)
8 Contingencies (예비비)
9 Design Fee (설계비)
이상의 Elemental CBS를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프로젝트 초기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설계대안들에 대한 설계자 및 엔지니어들의 의사결정 단위에 따른 공사비관리, 다른 말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시장이 만들어지지 않은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 서비스"가 가능하게 됩니다. 하지만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 서비스가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Elemental CBS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른 몇가지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신뢰할 수 있는 Elemental CBS에 따른 Cost Database의 구축: 프로젝트 초기의 제한된 설계정보로 인해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Cost Database를 반드시 활용해야 합니다.
2) 한국의 건설환경에 적합한 Cost Planning 기법의 개발: 실시설계가 완성된 이후의 공사비견적에 치중되어 있는 건설환경을 자연스럽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Manual의 개발, 공사비관리를 위한 IT 프로그램 개발 등의 노력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3) 발주자들의 인식 전환 노력: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 서비스"가 발주자에게 직접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제가 근무하고 있는 Turner and Townsend Korea에서는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 서비스를 위해 BCIS의 Standard Form of Cost Analysis를 활용합니다. 영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InTTegra"라는 Cost Database와 "Cato"라는 Cost Planning 프로그램이 모두 BCIS의 SFCA를 따르고 있습니다. 현재는 한국형 InTTegra, 즉 한국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BCIS의 SFCA에 따른 Cost Database를 구축 중에 있으며, 구축된 이후에는 강력한 설계단계의 공사비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